/* 다형성(polymorphism, 폴리모피즘) : 프로그래밍 언어의 자료형 체계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, 프로그램 언어의 각 요소들(상수, 변수, 식, 오브젝트, 함수, 메소드 등)이 다양한 자료형(type)에 속하는 것이 허가되는 성질을 가리킨다. 반댓말은 단형성(monomorphism)으로, 프로그램 언어의 각 요소가 한가지 형태만 가지는 성질을 가리킨다.
출처: wikipedia */// 다형성 때문에 아래의 3개 연산 결과는 true20=="20"// result >>> truefalse==0// result >>> truenull==undefined// result >>> true/* 때문에 === 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*/20==="20"// result >>> falsefalse===0// result >>> falsenull===undefined// result >>> false/* ==, != 는 다형성을 허용 */"answer"!="correct answer"// result >>> true"correct answer"!="correct answer"// result >>> false20!="20"// result >>> false20!=="20"// result >>> true20!==20// result >>> false